-
- 분류 고전자료 고도서
(孝子韓龍雲) 韓龍雲 驛人自在齠齡愛親之誠出類迥凡承意順志一無違忤父母之事及長常抱哺其母時或吮乳作嬰兒戲亟力焦思不乏甘旨隣里莫不稱其孝母病亟涕泣呼天沐浴禱神竝裂兩指注血及歿哭擗氣窒絶而復穌者五
-
- 상위자료 승정원일기 고종 22년
- 분류 고전자료 고도서
한용운의 둘째 아들 한동리를 한용림의 후사로 세울 것을 청하는 예조의 계조수익2○ 또 예조의 말로 아뢰기를, “방금 함열(咸悅) 유학 한용은(韓用殷)의 소지(所志)를 보니, ‘저의
-
- 상위자료 승정원일기 고종 22년 을유(1885, 광서)
- 분류 고전자료 고전국역서
한용운의 둘째 아들 한동리를 한용림의 후사로 세울 것을 청하는 예조의 계한국고전번역원조수익KH.KC.KH.KC.ITKC_ST_Z0_A22승정원일기 고종 22년 을유(1885, 광서)
-
- 상위자료 동아일보 1961년05월
- 작성자 동아일보사
- 분류 근현대자료 연속간행물
1961년 佛敎革新의 先驅者 萬海·韓龍雲先生 17週忌에 즈음하여 (印權煥) 한용운(韓龍雲) 1961. 05. 09 2016. 05. 08.
-
- 작성자 경성지방법원
- 분류 근현대자료 문서
-02-24 00:00:00.000관련인물 :한용운관련단체 :
-
- 상위자료 每日申報
- 분류 근현대자료 연속간행물
-07 00:00:00.000위치 : 3면 11단 기사구분 : 기사 초록 : 한용운(대사)조선불교유신회, 조선불교사성북정불교대전, 불교유신 국립중앙도서관
-
- 상위자료 한용운 심우장
- 작성자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jobdirSeq=282&idnbr=20160128762014현대사_1464. small.jpg사단법인 한국역사문화원2010년대심우장 안방에 걸려 있는 한용운의 친필이다.친필,한용운
-
한용운의 동상이다.' style="display:none;">
한용운의 동상이다.' style="display:none;">
- 상위자료 한용운 심우장
- 작성자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심우장,한용운이미지원본대한민국역사박물관1유형
-
- 상위자료 한용운 심우장
- 작성자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한용운,북정마을이미지원본대한민국역사박물관1유형
-
- 상위자료 디지털구리문화대전
- 작성자 김명희
-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금석문] 비석 전면에는 '만해한용운선생묘 부인 유씨재우(萬海韓龍雲先生墓, 夫人兪氏在右)'라고 써 있다.
-
- 상위자료 디지털구리문화대전
- 작성자 서은아
-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의의와 평가] 『한용운전집』은 「님의 침묵」의 시인으로 「조선 독립의 서」의 독립 투사로 『조선 불교 유신론』의 종교 지도자로, 커다란 발자취를 남긴 만해 한용운의
-
- 작성자 최태선
-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우측 서재로 쓰던 우측 방에는 尋牛莊(심우장)이라는 편액이 걸려 있다.한용운은 만해(萬海)라는 호(號) 외에 필명으로 오세인(五歲人), 성북학인(城北學人), 목부(牧夫), 실우(失牛
-
- 작성자 김광식(동국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그 관점은 첫째, 한용운과 관련된 객관적인 기록의 중시 둘째, 한용운의 불교 사상 셋째, 한용운의 사회관에 대한 관점 넷째, 한용운이 반종교운동을 비판하였던 사실 등이다.
-
- 작성자 김종인(경희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한용운은 시를 통해서 자신의 본원을 상실한 슬픔을 노래하고 있는데 그 본원은 님과 고향으로 표상되고 있다.
-
- 작성자 장석원(고려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한용운의 사랑과 기다림이 시대를 초월하여 보편성을 획득하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한용운의 수동성은 능동성과 분리되지 않는다. 그의 수동성은 사랑의 강렬함으로 전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