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위자료 연행록선집(燕行錄選集)
- 작성자 허봉(許篈)
- 분류 고전자료 고전국역서
그는 서평군(西平君) 한숙창(韓叔昌)의 딸을 취(娶)하여 허성(許筬)을 얻었고 예참(禮參) 김광철(金光轍)의 딸을 취하여 허봉(許篈)과 허균(許筠) 및 여식 허난설헌(許蘭雪軒)을 얻었던
-
- 분류 고전자료 고도서
허난설헌의 시는 중국에도 널리 알려졌다.
-
- 상위자료 국민보
- 분류 근현대자료 연속간행물
지금도 그 시집이 유전하매 그 시구를 읽을수록 그 천재의 난만을 경탄하지 않을 수 없나니 동양에 재하여 여 시인으로는 아마 허난설헌을 일위로 처하지 않을 수 없으리라.
-
- 상위자료 每日申報
- 분류 근현대자료 연속간행물
11-03 00:00:00.0001900-01-01 00:00:00.0002019-03-07 00:00:00.000위치 : 4면 3단 기사구분 : 기사 초록 : 許蘭雪軒
-
- 상위자료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유물
- 작성자 국립중앙박물관
-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전허난설헌필 작약도 국립중앙박물관 덕수-2463 傳許蘭雪軒筆芍藥圖 문화예술-서화-회화-일반회화 이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중앙박물관이 e뮤지엄(https
-
- 상위자료 한국구비문학대계(2차)
- 작성자 임재해, 강선일, 이정욱, 정은지, 차수정
-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음성자료
이철응 허난설헌 아들의 불운함을 이야기한 이철응씨가 예전에 들은 말이 또 있다며 말을 이어갔다.
-
- 작성자 강진갑
-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곡자」 시의 대상인 어려서 죽은 두 자녀의 묘가 허난설헌 묘 우측 전면에 나란히 있고, 남편의 묘는 허난설헌의 묘 위쪽에 있다.
-
- 상위자료 전근대여성연표
- 작성자 국사편찬위원회
- 분류 사전ㆍ공구 연표
허난설헌의 시문집(서울역사박물관, 2002, ≪조선 여인의 삶과 문화≫, 142쪽)전근대여성연표
-
- 작성자 한계호(中国 延边大学)
- 분류 연구성과 기타
나아가서는 역사로 시를 증명하고(以史證詩), 시로 시를 증명(以詩證詩)하는 방법을 사용하면서 고고학적인 발견에 비추어 허난설헌의 궁사에 나타나는 명물(名物), 전고, 전장제도(典章制度
-
- 작성자 임미정(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시선집에 허난설헌의 시가 다수 수록된 정황을 알 수 있었고, 주로 선발된 시의 목록과 모습도 확인하면서 허난설헌이 조선을 대표하는 시인으로 인정받은 사실도 재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