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위자료 연행록선집(燕行錄選集)
- 작성자 허봉(許篈)
- 분류 고전자료 고전국역서
》의 저자 하곡 하곡(荷谷)의 《조천기(朝天記)》는 명종, 선조 때의 동인(東人)의 중심 인물이던 초당(草堂) 허엽(許曄)의 아들이자 허성(許筬)의 아우, 허균(許筠)의 형이며 허난설헌(許蘭雪軒)의 오빠가 되는 허봉(許篈)이 성절사(聖節使) 박희립(朴希立)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선조 7년(1574) 즉 명의 만력(萬曆) 2년에 사행(使行)한 기행일기(紀行日記)이다그는 슬하에 허성(許筬), 허봉(許篈), 허균(許筠) 및 허난설헌(許蘭雪軒) 등 뛰어난 재원(才媛)을 두었다.그는 서평군(西平君) 한숙창(韓叔昌)의 딸을 취(娶)하여 허성(許筬)을 얻었고 예참(禮參) 김광철(金光轍)의 딸을 취하여 허봉(許篈)과 허균(許筠) 및 여식 허난설헌(許蘭雪軒)을 얻었던
-
- 분류 고전자료 고도서
문화-문학/저술 집부-별집류 고서-여성작가 난설헌시(蘭雪軒詩) L45562 허난설헌조선 중기의 시인 허난설헌(許蘭雪軒, 1563-1589)의 시집으로, 200여 수의 작품이 실려 있다.허난설헌의 시는 중국에도 널리 알려졌다.
-
- 상위자료 국민보
- 분류 근현대자료 연속간행물
여 시인 허난설헌 부인KH.IDP.IDP-NP-001국민보21954-12-29text/xml1900-01-01 00:00:00.0002007-06-15 00:00:00.0002013-10-21 00:00:00.000이조 선조시 허난설헌 성은 허요, 이름은 경빈이요, 호는 난설헌이니 조선 선조 시대(서기 一천六백년경) 허화의 딸이요, 김정의 아내다.지금도 그 시집이 유전하매 그 시구를 읽을수록 그 천재의 난만을 경탄하지 않을 수 없나니 동양에 재하여 여 시인으로는 아마 허난설헌을 일위로 처하지 않을 수 없으리라.
-
- 상위자료 每日申報
- 분류 근현대자료 연속간행물
11-03 00:00:00.0001900-01-01 00:00:00.0002019-03-07 00:00:00.000위치 : 4면 3단 기사구분 : 기사 초록 : 許蘭雪軒
-
- 상위자료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유물
- 작성자 국립중앙박물관
-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전허난설헌필 작약도 국립중앙박물관 덕수-2463 傳許蘭雪軒筆芍藥圖 문화예술-서화-회화-일반회화 이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중앙박물관이 e뮤지엄(https
-
- 상위자료 한국구비문학대계(2차)
- 작성자 임재해, 강선일, 이정욱, 정은지, 차수정
-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음성자료
이철응 허난설헌 아들의 불운함을 이야기한 이철응씨가 예전에 들은 말이 또 있다며 말을 이어갔다.
-
- 작성자 강진갑
-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허난설헌묘 허난설헌묘 許蘭雪軒墓 강진갑 허난설헌|곡자 유적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에 있는 조선전기 시인 허난설헌의조선 강진갑 무덤 1985년 경기도 기념물 제90호 1986년 9월 7일 [정의]경기도 광주시 초월읍에 있는 조선전기 시인 허난설헌의묘 우측의 시비(詩碑)는 전국시가비건립동호회(全國詩歌碑建立同好會)에서 묘 이장 시기에 맞추어 건립한 것으로, 허난설헌의 시 가운데 「곡자(哭子)」가 새겨져 있다.「곡자」 시의 대상인 어려서 죽은 두 자녀의 묘가 허난설헌 묘 우측 전면에 나란히 있고, 남편의 묘는 허난설헌의 묘 위쪽에 있다.
-
- 상위자료 전근대여성연표
- 작성자 국사편찬위원회
- 분류 사전ㆍ공구 연표
ch_011_1632_00_00허난설헌 시문집 간행.≪난설헌집≫기타1632. 99. 99(음)허난설헌 시문집 간행.≪난설헌집≫ 난설헌시.허난설헌의 시문집(서울역사박물관, 2002, ≪조선 여인의 삶과 문화≫, 142쪽)전근대여성연표
-
- 작성자 한계호(中国 延边大学)
- 분류 연구성과 기타
許蘭雪軒宮詞研究A Study on the Palace Poems of He-ran-ser-hen許蘭雪軒宮詞研究한계호(中国 延边大学)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한국문예비평연구, 0(36), ,『宮詞』的內在聯系,並以比較文學的視覺從中國宮詞中查出淵源關系之後,對許蘭雪軒所點化的部分進行分析。本論文將采用以史證詩、以詩證詩的方法兼而參照考古學上的發現,闡釋許蘭雪軒宫词中所出現的名物、典故、典章制度,以期接近對許蘭雪軒宮詞的正解理解。본 논문에서는 연작시의 형태를 취한 허난설헌의 20수 궁사의 내재적인 연계를 파악함과 더불어 비교문학적인 시각으로 중국궁사에서 그 연원을 찾아낸 이후 허난설헌이 점화(點化)를 진행한나아가서는 역사로 시를 증명하고(以史證詩), 시로 시를 증명(以詩證詩)하는 방법을 사용하면서 고고학적인 발견에 비추어 허난설헌의 궁사에 나타나는 명물(名物), 전고, 전장제도(典章制度
-
- 작성자 임미정(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허난설헌 시 자료의 재검토Reconsideration on the Materials of Heo Nanseolheon’s Poems허난설헌 시 자료의 재검토임미정(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따라서 본고에서는 문집 『난설헌시』의 간행 전후로 허난설헌의 시를 수록하고 있는 문헌을 모두 살펴서, 국내 문헌을 중심으로 허난설헌 시 자료의 유전 실상을 알아보았다.국내 문헌에 수록된허난설헌의 시들은 모두 같은 모습으로 전해지고 있었는데, 이를 통해 허난설헌의 시가 최초로 기록된 하나의 저본을 기반으로 국내 문헌에 정확하게 유전되고 수용된 상황을 확인할 수 있었다그리고 문집에는 없지만 국내 문헌에서 허난설헌의 시로 알려지고 논의되었던 목록들도 다시 점검하여, 허난설헌 시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재고하여 정리하였다.이 과정에서 조선 중후기 주요시선집에 허난설헌의 시가 다수 수록된 정황을 알 수 있었고, 주로 선발된 시의 목록과 모습도 확인하면서 허난설헌이 조선을 대표하는 시인으로 인정받은 사실도 재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