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위자료 무명자집(無名子集)
- 작성자 윤기(尹愭)
- 분류 고전자료 고전국역서
화성〔華城〕이규필윤기(尹愭)화성의 형승은 우리 동방의 으뜸이니 / 華城形勝甲吾東 신민들 분주히 저마다 충성을 다하네 / 奔走臣民各盡忠 화려한 성가퀴와 망루는 꿈에서도 못 본 것이고
-
- 상위자료 무명자집(無名子集)
- 작성자 윤기(尹愭)
- 분류 고전자료 고전국역서
화성〔華城〕이규필윤기(尹愭)이슬비 갠 뒤 안개 걷히고 바람 상쾌해 / 霧罷風輕小雨餘 화성의 아침 햇살에 가던 수레 멈추었네 / 華城朝日駐征車 방화정은 장안성 위에 우뚝 솟고 / 訪花亭壓長安堞
-
- 상위자료 동아일보 1962년04월
- 작성자 동아일보사
- 분류 근현대자료 연속간행물
1962년 火星에도 물이 있다 화성(火星) 1962. 04. 29 2016. 05. 08. 04월 29일
-
- 상위자료 동아일보 1959년07월
- 작성자 동아일보사
- 분류 근현대자료 연속간행물
1959년 宇宙時代의 神話 火星人篇 [寫] 화성(火星) 1959. 07. 09 2016. 05. 08. 07월 09일
-
- 상위자료 경향신문사 소장자료
- 작성자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경제산업_건설(토목)경향신문사 소장자료수원 화성 팔달문 도로http://archive.much.go.kr/data/04/folderView.do?jobdirSeq=121&idnbr=20140008662012_01_09_017.jpg해당없음1970년대1970년대1970년대 수원 화성의 팔달문 도로의 모습이다.팔달문,수원 화성,
-
- 상위자료 반월국가산업단지
- 작성자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경제산업_산업;경제산업_기업반월국가산업단지반월국가산업단지 강남화성 공장 전경http://archive.much.go.kr/data/01/folderView.do?jobdirSeq=241&idnbr=20160114372014현대사_0538. small.jpg사단법인 한국역사문화원2010년대1980년대반월공단에 위치한 강남화성 합성수지 생산공장의전경이다.공장,합성수지,강남화성,산업단지,반월공단이미지원본대한민국역사박물관1유형
-
-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화성중학교 화성중학교 華城中學校 Hwasung Middle School 팔탄고등공민학교|화성여자중학교 단체 경기도화성시 향남읍 장짐리에 있는 사립중학교.화성시 향남읍 장짐리 161 현대/현대 중학교|사립중학교 1949년 5월 18일 송수현 031-352-7816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장짐리161 www.hwasung.ms.kr/ [정의]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장짐리에 있는 사립중학교.받았다. 1975년 3월 1일 학교법인 백련학원으로 변경하고, 화성여자중학교로 학칙을 변경하였다. 2004년 3월 1일 화성중학교로 변경하여 남녀공학이 되었다.
-
- 상위자료 디지털 철원문화대전
- 작성자 이기원
-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김화성당 마현공소 김화성당 마현공소 金化敎會馬峴公所 Mahyun Catholic Church 이기원 김화성당|임윤석[시몬]|김화성당 마현공소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마현리에 있는 한국 천주교 김화성당 소속의 공소.마현공소 건물 개보수, 2007년 4월 20일 김화성당 마현공소,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마현1길 2[마현리 1444-2] 김화성당 마현공소,[설립 목적] 김화성당 마현공소는 지역 선교와 신앙 공동체 형성을 위하여 설립하였다.마현공소는 춘천교구 김화성당에 소속되어 있다.
-
- 작성자 이상우(문화예술콘텐츠학회)
- 분류 연구성과 기타
애국가(愛國歌)의 신화성(神話性)과 반신화성(反神話性) - 미토스와 로고스를 중심으로 -Mythicality and Anti-mythicality of ‘AeGukKa’ - Focusedon Mythos and Logos애국가(愛國歌)의 신화성(神話性)과 반신화성(反神話性) - 미토스와 로고스를 중심으로 -이상우(문화예술콘텐츠학회)인문과학연구소인문연구, 0(79)이런 측면에서 우리나라의 대표적 상징물인 『애국가』의 서사와 신화소들을 분석하여, 다양하게 변이되고 있는 미토스와 로고스가 신화성과 반신화성으로 그 기능을 어떻게 수행하고 있는 가를또한 미토스와 로고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드러나는 애국가의 신화성과 반신화성의 양상을 읽어내고자 하였다.본고에서는 ‘미토스’를 ‘신화성’으로, ‘로고스’를 ‘반신화성’으로 파악하여갖는 표상적 상징성들을 살펴본 후 애국가의 신화성과 반신화성, 그리고 그 상호작용을 기술하였다.
-
- 작성자 박정애(중앙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조선후기 華城 경관의 시각화 양상과 華城全圖Visualization of the Scenery of the Hwaseong Fortress and an Overall View ofthe Hwaseong Fortress in the late Joseon Dynasty조선후기 華城 경관의 시각화 양상과 華城全圖박정애(중앙대학교)한국고지도연구학회한국고지도연구, 13, , pp.167-193ART0028054940http://dx.doi.org/10.22787/oldmap.2021.13.2.008Y2092-60492713-9875Article華城특히 화성 일대의 경관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華城全圖’가 많이 제작되었다.그 중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華城全圖> 2점은 각각 6폭과 12폭의 대형 屛風畵이고 회화적 완성도가 높아 관심을 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