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작성자 김기혁
- 분류 연구성과 기타
자연지명(군위현) 38 표 7. 행정지명(군위현) 39 표 8. 군사지명(군위현) 40 표 9. 경제지명(군위현) 40 표 10. 교통지명(군위현) 40 표 11.
-
- 작성자 미상
- 분류 연구성과 기타
피잔(疲殘)한 원군(元軍)과는 비교할 수 없고, 필요할 때에 크게 보충해 쓸 수 있을 것입니다.
-
- 분류 연구성과 조사보고서
고구려문화유산자료-중국:집안 대고려묘구 고분군(集安 大高麗墓溝 古墳群/大高力墓子 古墳群/대고려묘구 고분군)동북아역사넷2015.10.28한국어CC BY-NC-ND 2.0 KR
-
- 분류 연구성과 조사보고서
고분군(集安 良民 古墳群/良茂 古墳群)동북아역사넷2015.10.28한국어CC BY-NC-ND 2.0 KR
-
- 작성자 미상
- 분류 연구성과 기타
군정-군역 ; 군제-지방군에 관한 건 3 : 1764-03-27 : 비변사 등록 ; 영조 안주 소속 장사부에 아약을 충정하는 폐단 - 안주에서 멀어 불편하니 근처읍에 이액하도록 하자
-
- 작성자 김민영
- 분류 연구성과 기타
: 철도, 군산선, 장항선, 사회경제적 변용, 근대성, 군산항역대상시기 : 군산근대군산항역과 군산항
-
- 작성자 조필군(광주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또한 일제 강점기에도 한민족의 역사는 끊이지 않았으므로 민족군사적 관점에서 대한민국국군의 뿌리를 대한제국군까지로 확장함으로써 민족군의 정통성을 계승한 군대임을 재정립해야 할 것이다.Korean
-
- 분류 연구성과 기타
本 郡內의 軍田作人數는 179명으로 계산된다.
-
- 작성자 진호신(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박상준(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서해문화재과); 손태옥(태안군청)
- 분류 연구성과 기타
본문에서는 군적부 내용을 이름, 거주지역, 신장, 나이 등에 따라 분석하였고, 이 군적부가 19세기 초반 당진현에서 작성된 문서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
- 분류 연구성과 조사보고서
집안 대동구 고분군(集安 大東溝 古墳群/大陽岔6隊 古墳群)동북아역사넷2015.10.28한국어CC BY-NC-ND 2.0 KR
-
- 분류 연구성과 조사보고서
집안 노방구 고분군(集安 老房溝 古墳群/大陽岔4隊 古墳群)동북아역사넷2015.10.28한국어CC BY-NC-ND 2.0 KR
-
- 분류 연구성과 조사보고서
집안 대로촌 고분군(集安 大路村 古墳群/大路村4隊 古墳群)동북아역사넷2015.10.28한국어CC BY-NC-ND 2.0 KR
-
- 분류 연구성과 조사보고서
동구 고분군(集安 東溝 古墳群/地溝村東溝門 古墳群)동북아역사넷2015.10.28한국어CC BY-NC-ND 2.0 KR
-
- 분류 연구성과 조사보고서
관문립 고분군(集安 關門砬 古墳群/地溝三隊 古墳群)동북아역사넷2015.10.28한국어CC BY-NC-ND 2.0 KR
-
- 분류 연구성과 조사보고서
피덕기둔 고분군(集安 皮德記屯 古墳群/江口 古墳群)동북아역사넷2015.10.28한국어CC BY-NC-ND 2.0 KR
-
- 분류 연구성과 조사보고서
사구령 고분군(集安 斜溝嶺 古墳群/聯營參場 古墳群)동북아역사넷2015.10.28한국어CC BY-NC-ND 2.0 KR
-
- 작성자 이준성(국사편찬위원회)
- 분류 연구성과 기타
창해군의 설치는 예군 남려와 요동군의 이해관계가 서로 맞물린결과였다.한편 기원전 108년 고조선이 멸망한 이후 예맥 지역에는 玄菟郡이 설치되었다.
-
- 작성자 박창희(국방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이러한 중국군의 움직임은 중국도 서구의 군사변혁에 비견될 수 있는 군사적 능력을 본격적으로 구비해 나가는 것을 의미하며, 향후 지역내 군사력 균형에 적지 않은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
- 작성자 미상
- 분류 연구성과 기타
그러나 정축년 이후부터는 아침 저녁으로 변에 대비할 일이 없었으므로, 황해도의 경우 각종 군병에게 혹은 상번시키거나 혹은 군포를 징수하였으며 평안도는 방수군 및 정삼장에게 군포를 징수한
-
- 작성자 李 三 謀(中國農業博物館); 劉 彥威(中國農業博物館)
- 분류 연구성과 기타
不過,在當時邊塞的軍屯和軍牧之管理上,出現過一些疏忽、漏洞、呆板教條和執法不嚴等弊端,成爲一種歷史的教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