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작성자 미상
- 분류 연구성과 기타
: 朝鮮圖, 조선도, 필사본, 고지도대상시기 : 조선조선후기미상
-
- 작성자 미상
- 분류 연구성과 기타
: 조선지도, 朝鮮地圖, 彩色筆寫本, 채색필사본, 고지도대상시기 : 조선미상
-
- 작성자 유재진(고려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1936年南次郎総督の赴任後、『朝鮮(及満洲)』でも朝鮮人による露骨な親日且つ体制迎合的な記事が掲載され始め、朝鮮人寄稿家の<声>は最早植民地統治の「拡声器」役割を担うようになったが、そのような中でも独自
-
- 작성자 강명숙(배재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요약하자면 조선교육회는 다수의 회원이 조선인이고 그들의 회비에 의해 운영되었지만 인적구성면이나 조선교육회의 대표적인 활동으로 발간한 기관지『문교의 조선』발행 면에서 본다면, 조선인은
-
- 작성자 이명진(영남대학교); 김양선(영남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第三に、朝鮮流要馬術は朝鮮と日本との武的な文化交流の結果物であると定義できよう。
-
- 작성자 이석원(천주교 수원교구 유지재단 소속 수원교회사연구소)
- 분류 연구성과 기타
그는 중국과 일본을 통해 전해진 왜곡된 정보를 선지식으로 삼았기 때문에 애초부터 조선에 대해 편향적이고 부정적인 선입견을 가지고 있었다.앵베르 주교는 조선에 입국한 후 조선의 서책과
-
- 작성자 김제정(경상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또 조선총독부로서는 조선인에 대해서나 일본 본국정부에 대해서나 식민지 조선에서 자신들이 하는 정책을 무엇이든지 합리화할 수 있는 논리였다.Joseon Government-General
-
- 작성자 선봉규(전남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셋째, 조선어교사들은 회의 및 일상생활에서 조선어를 많이 사용한 반면, 자녀들과 학생들은 중국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
- 작성자 배석만(고려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조선중공업은 선박 건조를 중심으로 하는 조선소로 성장하였던 반면에, 타이완선거는 선박 수리를 중심으로 하는 조선소로 성장하였다.
-
- 작성자 박찬모(순천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조선과 만주』에 나타난, 조선의 산악에 대한 일본인들의 대체적인 인상을 함축적으로 표현하는 말 또한 민둥산[禿山]이다.
-
- 작성자 김방룡(보조사상연구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아울러 이들 논쟁 속에 내재되어 있는 보조선과의 연관성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조망해보았다.
-
- 작성자 강명숙(배재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그러나 조선인 고위 관료들이 조선인의 입장에서 조선 사정을 고려하며 정책을 실행했다고 보기 어렵다. 그 결과 영향력이나 파워가 없는 “양념용” 이었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려웠다.
-
- 작성자 이수경(건국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잡지에서 보여주고자 했던 조선의 생활상이라는 큰 틀에서 조선적인 것, 향토적인 것, 로컬이라는 수식어가 붙어 반도 영화산업에 일본 내지의 자본가와 영화제작에 관련된 기술과 인력까지
-
- 작성자 이석원(천주교 수원교구 유지재단 소속 수원교회사연구소)
- 분류 연구성과 기타
그는 선교지 조선의 관습을 유럽식으로 바꾸려 하지 말고 존중해야 하며, 어떤 조선의 관습은 유럽의 관습보다 훨씬 낫다고까지 했다.
-
- 작성자 이행훈(한림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안확은 철학을 조선의 3대 발달 가운데 하나로 제시하고, 조선 철학사의 특색을 서양과 비교하여 특정함으로써 조선철학의 고유성과 독자성을 주장했다.
-
- 작성자 문상련(중앙승가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에 첨부된 인영, 『조선화폐고』에 실린 인영과 원각사 소장 조선통폐지인을 비교해 보았던 바, 위 문서에 압인된 인영은 원각사 소장 조선통폐지인과 동일한 형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 작성자 은설정(중국산동대학)
- 분류 연구성과 기타
공용경이 조선에 왔을 때, 조선은 전례대로 ≪丁酉皇华集≫ 5권을 만들었는데, 이 책과 ≪使朝鲜录≫은 서로 보완해 주고 있다.
-
- 작성자 이난수(조선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그는 조선의 미를 고유성과 보편성을 중심으로 풀어나갔다.
-
- 작성자 임상석(부산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조선과 조선어의 교재적 위상의 변천은 일제 내부에서 확장되고 심화되던 조선인들의 언론과 교육 운동의 역량과 그 발전을 우회적으로 보여주는 증거이다.
-
- 작성자 전인수(케이씨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조선산 기독교에서 조선인의 주체성을 유지하는 방법으로 주목한 조선혼과 조선심은 1920~30년대 매우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개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