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성자 서영대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살수대첩 살수대첩 薩水大捷 서영대 고수전쟁|우중문|우문술|신세웅 사건 612년(영양왕 23) 중국 수(隋)나라의[개설]살수대첩을 비롯한 고구려와 수나라의 일련의 충돌은 4세기 이래로 분열을 거듭하던 중국을 수나라가 통일함에 따른, 동아시아 세력권의 재편성과정에서 나타난 충돌의 하나였다.다시

  • 작성자 김선근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칠불사 칠불사 七佛寺 김선근 칠불산|을지문덕|살수대첩 유적 북한 평안남도 안주군 안주면 칠불산(七佛山)에 있는삼국시대 고구려 을지문덕의 살수대첩과 관련있는 사찰.삼국시대/고구려 김선근 사찰 7세기 평안남도 안주군 안주면 [정의]북한 평안남도 안주군 안주면 칠불산(七佛山)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 을지문덕의 살수대첩과[내용]이 절의 창건은 을지문덕(乙支文德)의 살수대첩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612년(영양왕 23)에 을지문덕이 청천강 남안(南岸)에서 수나라의 대군을 쳐부술 때, 7인의 승려가 옷을

  • 작성자 남재철(명지대학교)
    분류 연구성과 기타

    韓國漢詩에 나타난 薩水大捷과 乙支文德A Study on The Great Victory at Salsu and General Uljimundeog in Korean Sino-Poetry韓國漢詩에 나타난 薩水大捷과 乙支文德남재철(명지대학교)한국고전문학회고전문학연구, 0(44), , pp.389-420ART0018417341http://dx.doi.org/10.17838/korcla.2013..44.012G704-000294.2013..44.007Y1225-1445Article본 논문은 살수대첩과 을지문덕의 교훈으로 인해 중국 측이 수나라 이후 명나라때까지도 고구려 및 고구려의 계승자인 우리 민족을 군사적인 잠재력을 지닌 무시할 수 없는 강성한 나라로 인식하여 왔다는 점, 아울러 우리 민족도 살수대첩의 영도자 을지문덕을 민족적자부심의 원천, 그리움의 대상, 영원한 귀감으로 인식하여 왔다는 점을 되새기면서, 한국한시에 나타난 살수대첩과 을지문덕의 양상과 의미를 원명 교체기의 급변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 조선왕조

  • 작성자 남재철(명지대학교)
    분류 연구성과 기타

    薩水大捷에서의 七佛傳說과 朝鮮朝 漢詩에의 受容 樣相The Legend of Seven Buddhas in the Sweeping Victory of Salsu and the AcceptanceAspect of the Legend in the Chinese Poetry of Choson Dynasty薩水大捷에서의 七佛傳說과 朝鮮朝 漢詩에의 受容 樣相남재철(명지대학교)우리한문학회漢文學報, 24(0), , pp.171-204ART0015635982G704-001598.2011.24..004Y1229-41362734-1925Article이 논문은 살수대첩과 관련한칠불전설의 자세한 내막은 『신증동국여지승람』을 통해 문헌에 최초로 나타나는데, 이는 諺傳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삼국사기』에 기록된 살수대첩의 전황과는 다른 이야기이다.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