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자료 髙句麗本紀 第六
    작성자 김부식(金富軾) 등
    분류 고전자료 고도서

    髙句麗本紀 第六[長壽王] 장수왕이 즉위하다(413년 10월(음))김부식(金富軾) 등413. 10. 99장수왕이 즉위하다(413년 10월(음)) 장수왕(長壽王)은 이름이 거련(巨連)이다광개토왕 18년에 책립하여 태자로 삼았고, 22년에 왕이 사망하여 즉위하였다.장수왕이 즉위하다(413년 10월(음)) 長壽王, 諱巨連 一作璉., 開土王之元子也.

  • 상위자료 髙句麗本紀 第六
    작성자 김부식(金富軾) 등
    분류 고전자료 고도서

    髙句麗本紀 第六[長壽王] 장수왕이 사망하다(491년 12월(음))김부식(金富軾) 등491. 12. 99장수왕이 사망하다(491년 12월(음)) 〔79년(491)〕 겨울 12월에 왕이나이가 98세였는데, 이름을 장수왕이라 하였다.〔또한〕 알자복야(謁者僕射) 이안상(李安上)을 보내 거기대장군·태부·요동군개국공·고구려왕을 추증하여 책립하고, 시호(諡號)를 강(康)이라 하였다.장수왕이 사망하다(491년 12월(음年九十八歳, 號長壽王. 魏孝文聞之, 制素委貌布深衣, 舉哀於東郊, 遣謁者僕射李安上, 䇿贈車騎大將軍·大傅·遼東郡開國公·髙勾麗王, 謚曰康.,

  • 상위자료 디지털구리문화대전
    작성자 최상기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장수왕 장수왕 長壽王 The King Jangsu 최상기 장수왕|거련|광개토태왕|문자명왕|개로왕|실성|눌지|고구려|남진출생, 394년 장수왕, 광개토태왕의 태자로 책봉, 408년 4월 장수왕 즉위, 412년 장수왕 사망, 491년 12월 장수왕 백제의 도성 한성을 함락시키고[개설] 장수왕(長壽王)은 고구려의 제20대 왕으로서 이름은 거련(巨連)[또는 연(璉)]이다. 394년에 출생해 408년 4월에 광개토태왕(廣開土太王)의 태자로은 장수왕의 손자이다.본래 장수왕에게는 조다(助多)라는 아들이 있어 장수왕의 재위 중에 태자로 책봉되었으나 장수왕보다 먼저 죽어 조다의 아들이 대손(大孫)으로서 왕위를 이었다.

  • 분류 사전ㆍ공구 연표

    장수왕 즉위함.20413-10-99L0text/xml2009-02-24 00:00:00.0002006-11-30 00:00:00.0002012-01-03 00:00:00.000광개토대왕이장수왕 즉위함.삼국사기 고구려본기

  • 작성자 최일례(전남대학교)
    분류 연구성과 기타

    장수왕대 고구려의 對中外交와 그 動因Goguryo’s Diplomacy with China Under the Reign of King Jangsoo and Its Causes장수왕장수왕대 對中外交의 추이는 크게 3시기로 구분할 수 있었다. 장수왕 전기는(즉위~27년) 남북조와 고르게 외교하였다.장수왕 중기는(28~49년) 북위와 외교를 단절한 채 송과만 외교하였다.장수왕 후기는(50~79년) 북위와 더 중점적으로 외교하였다.장수왕은 평양세력의 협력 아래 평양으로 천도하였고(427), 남북조와 고르게 외교하였다.장수왕 60년을 기점으로 고구려는 북위에 보내는 공물의 양을 이전의 배로 하였고, 북위 또한 이에 대한 보답을 조금 늘렸다(472).

  • 작성자 신정훈(초당대학교)
    분류 연구성과 기타

    長壽王 5年~長壽王 7年 동아시아의 정세와 高句麗의 동향Political Conditions of East Asia and the Movement of Goguryo: Focusingbetween 417 to 419 A.D.長壽王 5年~長壽王 7年 동아시아의 정세와 高句麗의 동향신정훈(초당대학교)택민국학연구원국학연구론총, 0(23), , pp.373-408ART0024810200Y2005-1999Article長壽王 5年(417년) 8월에, 東晉은 後秦을 멸망시켰다.長壽王 6年(418년)에는 강화된 북위의 영향력이 북연으로 뻗어나간 시기였다. 북위가 북연의 수도를 공격했던 것이다.그런데 長壽王 7年(419년)에는 北魏와 夏, 東晉이 상호 적대를 하며 전투를 하고 있었다. 중국 지역의 정세가 혼미한 가운데, 북연은 완충지대로서 기능하고 있었다.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